conversion.kr [중문학] 현대 중국(中國)어의 사동 구문 연구 > conversion7 | conversion.kr report

[중문학] 현대 중국(中國)어의 사동 구문 연구 > conversion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onversion7

[중문학] 현대 중국(中國)어의 사동 구문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9 13:29

본문




Download : 중어중문과_15.hwp




즉, 영어에서 비-사동동사 die에 대하여 kill로써 사동표현이 실현되는 것은 어휘적 사동법에 해당되고…(생략(省略))
중어중문과_15_hwp_01.gif 중어중문과_15_hwp_02.gif 중어중문과_15_hwp_03.gif 중어중문과_15_hwp_04.gif 중어중문과_15_hwp_05.gif 중어중문과_15_hwp_06.gif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다. 어휘적 사동법은 동사의 어근 자체가 사동 표현을 수행하는 것이고 형태적 사동법은 파생적으로나 굴곡적으로 사동표현을 실현하는 경우이다.

[중문학] 현대 중국(中國)어의 사동 구문 연구
현대중국어,유표지사동문,중국어구문,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중어중문과_15.hwp( 80 )


1. 서 론 3.1 “使令” 구문, 2. 有標識 使動文 3.2 “使動用法” 구문, 2.1 “使”字 구문 3.3 “動結構造” 구문, 2.2 “給”字 구문 3.4 “得”字 구문 , 2.3 “把”字 구문 4. 결 론 , 3. 無標識 使動文 , FileSize : 51K , [중문학] 현대 중국어의 사동 구문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현대중국어 유표지사동문 중국어구문



순서






1. 서 론 3.1 “使令” 구문, 2. 有標識 使動文 3.2 “使動用法” 구문, 2.1 “使”字 구문 3.3 “動結構造” 구문, 2.2 “給”字 구문 3.4 “得”字 구문 , 2.3 “把”字 구문 4. 결 론 , 3. 無標識 使動文 , 자료크기 : 51K
1. 서 론 3.1 “使令” 구문
2. 有標識 使動文 3.2 “使動用法” 구문
2.1 “使”字 구문 3.3 “動結構造” 구문
2.2 “給”字 구문 3.4 “得”字 구문
2.3 “把”字 구문 4. 결 론
3. 無標識 使動文

使動(causative)이란 사동주가 피사동주로 하여금 어떤 행위나 동작을 하게 하거나 어떤 상황에 놓이게 하는 態(voice)이다. 그리고 통사적 사동법은 原因과 결과를 분리된 두 동사로 각각 실현하는 경우이다. 사동법은 보통 세 가지로 구분한다.
전체 7,75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onversion.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