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경궁 分析(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2 16:29
본문
Download : 창경궁 분석.hwp
그리고 1986년 8월까…(생략(省略))
레포트/기타
창경궁 分析(분석)
창경궁 分析(분석)
설명
창경궁,기타,레포트






순서
창경궁 분석 , 창경궁 분석기타레포트 , 창경궁
다. 창건 당시 건물들은 임진왜란 때 모두 불에 소실되었고, 1616년(광해군 8년) 때에도 몇 번 화재가 있어 지금 남아 있는 것은 대체로 임진왜란 후에 재건한 명정전을 비롯한 그 회랑과 그 앞문인 명정문, 창경궁의 정문인 홍화문 등과, 1834년(순조 34년) 다시 지은 숭문당, 함인전, 환경전, 경춘전, 통명전, 양화당, 집복헌, 영춘헌 등으로 나눌 수 있따 사실 창건 당시에는 별로 이용되지 않다가 임진왜란 이후 경복궁, 창덕궁과 함께 불타버린 후 창덕궁과 함께 다시 지어져 조선 왕조 역싸의 주 무대가 되었다. 그리고 한일 합방 조약 체결 후, 창경궁을 창경원으로 격하했다. 장 희빈은 주로 취선당에서 거주하였고, 영조는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두어 궁궐 안의 선인문 안뜰에 8일 간이나 방치했다. 1909년(순종 3년) 일제는 궁 안의 전각을 헐어버리고 그 안에 동물원과 식물원을 설치하는 한편, 궁원을 日本(일본)식으로 바꾸었다. (수강궁은 태종이 세종에게 왕위를 물려 준 후 상왕이 되어 거처했던 곳이다. 하지만 순종 즉위 후 창경궁은 일제에 상대하여 크게 훼손되었다.
Download : 창경궁 분석.hwp( 11 )
창경궁
(1) 창경궁의 역싸
창경궁은 조선 시대 5대 궁궐 중의 하나로, 서울 종로구 와룡동에 위치하여 있따 1484년(성종 15년) 당시 세조의 비였던 정희왕후, 덕종의 비였던 소혜왕후, 예종의 비였던 안순왕후를 위하여 옛 수강궁 터에 지은 궁궐이다. 또한 창경궁과 종묘를 잇는 산맥을 끊어 도로를 설치하고 궁 안에 日本(일본)의 국화인 벚꽃나무를 잔뜩 심어 1924년부터 벚꽃놀이를 하였다. 광복 이후에도 관광과 여가 시설로 이용되다가 1980년대 政府(정부)에서 복원 계획을 세웠고, 1983년 12월 30일에 다시 창경궁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이는 일제가 우리 민족성을 말살하기 위한 방책이었다.) 창경궁은 서쪽으로는 창덕궁과 같이 있고, 남쪽으로는 종묘와 통해 있따 이 때 지은 집이 명정전, 문정전, 수녕전, 환경전, 경춘전, 인양전, 통명전과 양화당, 영휘당, 사성각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