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신체관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2 03:38
본문
Download : 근대 신체관 연구.hwp
주지하다시피 유교는 조상을 숭배하는 종교성을 가지고 있는 만큼 근본적으로 효(孝)가 중시되고 있으며 加地伸行·김태준 역, 『유교란 무엇인가』, 지영사, 1996, 32-33면., 이러한 효(마음)를 실천하는 가운데 몸은 마음과 하나가 된다된다.근대신체관연구-이상 , 근대 신체관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1. 서론 4. 육체의 부정을 통한 정신 지향
2. 고대 신체관의 근원과 성격 5. 생(生)에 대한 불구적(不具的) 인식
3. 개인의 전유물(專有物)로서 신체 인식 6. conclusion
이상의 근대 신체관의 성격이 가장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부분은 자살(自殺)에 대한 자각이다.근대 신체관 연구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근대 신체관 연구.hwp( 43 )
순서
이상의 12월12일을 토대로한 근대 신체관에 대상으로하여 쓴 글입니다.
전통적인 유교 사회에서 육체는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체(遺體) “내 몸은 부모의 유체(遺體)” 『禮記』, 祭儀篇. 加地…(drop)






레포트/인문사회
다. 유교의 신체관은 시대에 따라 마음과 몸에 대한 강조점이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마음은 몸을 통하여 드러난다고 보는 심신일원론(心身一元論)에 바탕해 있다 조민환, 「유가미학(儒家美學)에서 바라본 몸」, 『몸 또는 욕망의 사다리』, 한길사, 1999, 96면. 그런 즉, 몸은 마음과 별개의 것이 아니므로, 몸(신체)에 관한 전통적인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우선 마음이 강조하는 바가 무엇인지 알아야 할 것이다.
2. 고대 신체관의 근원과 성격
우리나라의 전통 윤리는 유교에 근원을 두고 있는 있으므로, 고대 신체관을 알기 위해서는 우선 유교의 신체관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근대적 지식과 아울러 근대적인 병을 경험한 이상은 자신의 의지에 따라 육신을 사멸시킬 수 있다는 신체에 대한 새로운 자각을 하기에 이르는 데, 이러한 새로운 인식의 저변에는 이전과 다른 신체 윤리의 change(변화)가 전제해 있다 실상, 신체에 대한 차이는 체격과 신장의 차이보다는 오히려 신체 활동의 차이, 분위기의 차이에 있으며 나아가 그것은 신체를 구별하는 자신의 신체에 대한 관점의 차이, 시각의 차이에 기인한다. 三浦雅士, 『身體の零度-何が近代を成立させたか』, 講談社, 1994, 57면. 그러므로, 이러한 관점의 차이를 알기 위해서는 근대적 신체관과 변별되는 과거 신체관에 대한 고찰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상의 『12월 12일』을 중심으로 근대 신체관의 성격을 알기 위해 먼저 고대 신체관의 근원과 성격을 살펴보기로 한다.
근대신체관연구-이상
이상의 12월12일을 토대로한 근대 신체관에 대해서 쓴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