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호 (金乎)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2 23:07
본문
Download : 김 호 (金乎).hwp
뉴욕이민국에서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북미지방총회장 이대위(李大爲)의 보증으로 미국에 첫 발을 디딘 선생은 대한인국민회 회원으로 입회한 것으로 보인다.
레포트/인문사회
김 호 (金乎)
순서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1914 미국으로 망명하여 대한인국민회에서 독립운동
1919 노동사회개진당을 조직하여 임정지원
1937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장
1941 한인국방경위대 맹호군 창설
1942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집행부 위원장
김 호 (金 乎) 선생
(1884. 5. 25 ∼ 1968. 1. 5)
해외 한족대회를 미령(美領)에 소집함은 해외 한족 전체가 일치 협력하여 미국정부의 급진 맹작하는 세계원조의 대업을 직접 간접으로 후원하며, 전후 건설공작에 이르기까지 만인의 공헌을 같이 하자 함이요, 독립 자주의 정당한 권리와 행복을 누리고자 하는 민족적 충동과 요구에서 이 시대에 대처하는 최선의 방법을 연구하여 토의하자 함이니, 대회와 대회 의원의 사명이 실로 중대하고 그 의무가 또한 중대함을 깊이 자각하여, 가깝게는 미령 동포의 성실한 원조와 지도가 있기를 바라고, 멀리는 전민족의 뜨거운 편달이 있기를 바라며, 이로부터 통일과 조직적 투쟁으로써 승리를 굳게 맹약하노라.
- 선생 등이 주도한 미주의 해외한족대회 「선언」(1941. 4. 20) 중에서 -
선생은 1884년 5월 25일 서울에서 출생하였다. 1910년대 초반 당시, 대한인국민회는 북미와 하와이는 물론 시베리아·만주·수청(水淸:스찬, 현재의 파르티잔스크) 등지에 국민회 지방총회를 설립하였으며, 멕시코지역에도 지방회를 설립하는 등 해외한인의 최고통일기관으로 자리잡고 있었다. 또한 대한인국민회는 1911년부터 …(skip)
Download : 김 호 (金乎).hwp( 14 )
f8-2월의독립운동가22 , 김 호 (金乎)인문사회레포트 ,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f8-2월의독립운동가22
다. 본명은 金廷(庭)鎭이며, 호는 한사(漢 )이다.
일찍이 대성학교(大成學校)에서 교편을 잡고 학생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시켰던 선생은 1912년 11월 china(중국) 상해(上海)로 망명하였으며, 1914년 7월 25일 유학을 목적으로 도미 길에 올라 몽골리아(Mongolia) 선편으로 뉴욕에 입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