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신신앙의 상징체계를 통한 한국전통주거의 장소화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30 14:46
본문
Download : 가신신앙의 상징체계를 통한 한국전통주거의 장소화에 관한 연구.hwp
건축적 장소는 물리적 조건에서 장소로서의 공간을 말한다.가신신앙의상징체계를 , 가신신앙의 상징체계를 통한 한국전통주거의 장소화에 관한 연구공학기술레포트 ,






레포트/공학기술
,공학기술,레포트
순서
한국전통주거공간의 의미를 가신 신앙의 상징체계를 통해 연구한, 사진과 표가 삽입 된 리포트입니다.
Ⅰ. 서론
Ⅱ. 이론(理論)적 고찰
1. 장소
2. 상징
3. 상징의 장소화
Ⅲ. 가신신앙의 concept(개념) 및 수용형태
Ⅳ. 가신을 통해 본 한국전통주거공간의 의미
1. 상위신 - 천신의 공간
2. 중위신 - 인신의 공간
3. 하위신 - 잡신의 공간
Ⅴ. conclusion
xxxxxx-2. 건축적 장소와 구성요소
건축의 역할중에 하나는 인간에게 의미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일일 것이다.
② 행위조건
건축은 각 공간의 고유한 기능을 담고 있으며,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체험자의 행위가 내부의 물리적 조건과 외부環境(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장소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따
③ 의미조건
건축내 공간이 행위를 바탕으로 한 체험자에게 장소로 기억되기 위해서는 의미있는 곳으로 기억되어야 한다.
xxxxxx-3. 장소의 유형 및 특징
장소를 구분하는 것은 장소성 표현에 있어 concept(개념)에서 결과물로서의 건축이 되기까지 표현의 논리적 근거와 타당성의 바탕이 되…(drop)
가신신앙의상징체계를
설명
가신신앙의 상징체계를 통한 한국전통주거의 장소화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주거공간의 의미를 가신 신앙의 상징체계를 통해 연구한, 사진과 표가 삽입 된 리포트입니다. Norberg-Schulz는 장소에 대한 definition 로 근접성(近接性)과 폐합성(閉合性)이라는 게슈탈트 원리에 근거하고 있따 근접성이란 이런 여러 가지 요소의 군화(群化), 즉 양괴(量塊)의 집중을 만들어낸다.
① 물리적 조건
건축적 장소는 폐합된 물리적 구성요소에 의해 외부영역과 구별되는 독자적인 중심성을 지니며, 중심화된 장소는 또 다른 장소로의 중심화된 전이를 가능케 하는 통제체계를 포함하여 의미있는 目標(목표)점을 지향하는 방향성을 지닌다.
Download : 가신신앙의 상징체계를 통한 한국전통주거의 장소화에 관한 연구.hwp( 52 )
다.
Norberg-Schulz의 중심성, 방향성, 폐합성의 concept(개념)은 건축적 장소가 지니는 물리적 속성과 장소가 지닌 구조의 의미를 말해준다. 건축의 history를 살펴보면 대규모의 양괴를 사용하여 그 장소를 특정지으려는 경향도 이 원리에서 由來한다. 인간생활의 장으로서의 건축이 장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조건외에 체험자의 행위 작용과 의미작용이 더해져야 하는데, 각각의 特性(특성)은 다음과 같다. 의미는 장소가 가지는 고유성이라기 보다는 체험자의 경험에서 나오는 조건이다. 반면에 폐합성은 주위로부터 분리된 하나의 공간을 특별한 장소로 결정한다. 이는 머무는 장소로서 건축내부의 특정 방의 문제와 건축이 만들어 내는 다양한 공간의 문제를 실존주의적 태도에 의한 의미로 받아들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