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자동차 유연생산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6 09:39
본문
Download : 기아자동차 유연생산체.hwp
물량이 확대되어야 할 때 한 공장에만 집중시키지 않는 방식으로 차종이관이 일어나기도 하지만, 공장별 characteristic(특성)화 전술에 따른 차종이관이 지배적으로 일어났다.
1-9. 차종이관
공장내의 차종이관은 혼류생산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공장의 운영을 위한 안정적인 물량확보, 생산량 유지의 문제는 분명히 자본의 역할이다.
기아자동차 유연생산체에 대한 글입니다. 1장 기아자동차 구조조定義(정이) 전개 양상과 노동조합의 대응 3
1절 구조조定義(정이) 전개 양상 3
1. 인력조정 4
2. 조직구조 개편과 현대 체제의 접목 6
3.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의 기능 통합 7
4. 부품공급 시스템의 개혁 8
2절 구조조정과 노동조합의 대응 8
1. 회사의 설립, 별도 법인, 사업부 이관 및 차종이관 8
1-1. 부품사업 이관 8
1-2. 서산 변속기 공장(현대 파워텍) 건설 11
1-3. 소하리 프론티어 광주이전 반대 투쟁 13
2. 인원조정과 UPH 조정 16
2-1 유연생산을 위한 현대자본의 공세 16
2-2. 소하리공장 UPH 대응과 투쟁 18
2-3. 화성공장 UPH 대응과 투쟁 21
2-4. 소결 22
3. 물량 확보 23
3-1 광주공장의 물량 확보 전개 과정 23
3-2. 람다엔진을 둘러싼 대응과 한계 27
4. 비정규직 투쟁의 전개와 대응 30
4-1 외주화·용역·물류사 도입 반대투쟁 30
5. 모듈화·외주화 대응 33
5-1 광주공장의 모듈화 대응 33
3 절 총괄 35
참고 : 기아자동차의 투쟁 과정 39
2장 기아자동차 유연생산체제 구축 現況(현황) 83
1절 유연생산방식이란? 83
2절 통합적 유연화의 진행 정도와 노동자의 의식 85
1. 생산의 유연화 88
1-1. 적기생산방식과 변종변량 88
1-2. ERP와 e-비즈니스 92
1-3. 기능통합/기구통합/슬림화 96
1-4. 분사 및 별도법인화 98
1-5. 내부물류체계와 부품조달체계 99
1-6. 자동화와 신기술 102
1-7. 품질관리 126
1-8. 혼류생산 136
1-9. 차종이관 142
1-10. UPH 조정 144
2. 노동의 유연화 149
2-1. 노동자 감시, 통제 149
2-2. 비정규직 도입 158
2-3. 전환배치(전적) 162
2-4. 물량조절 167
2-5. 잔업, 특근 조절 169
3. 노사관계의 유연화 173
3절 소결 - 자동차절망공장에서 벗어나기 175
부록 : 기아자동차 모듈화 및 자동화 現況(현황) 182
3 장 기아자동차 노사관계 211
1절 기아자동차 노동운동의 전개 211
1. 1997년 이전 기아자동차 노동운동 211
1-1. 민주노조운동의 등장과 전개 211
1-2. 6.28 투쟁과 민주노조의 정착 212
1-3. 소결 213
2. 1997년 이후 기아자동차 노동운동 214
2-1. 현대 인수를 전후로 한 노동운동 214
2-2. 현대 자본 인수 이후 노동운동 218
3. 소결 221
2절 현대 자본의 경영전술과 대노동 전술 222
1. 현대 인수 이전 자본의 경영전술 222
1-1. 기아자동차의 전사(前史) 222
1-2. 1990년대 경영합리화 운동 223
2. 현대인수 이후 자본의 경영전술 225
2-1. 조직구조 개편 225
2-2. G-5 전술 226
2-3. New Start-99 운동과 6시그마운동 227
2-4. 현대자본의 대노동 전술 228
3절 노동자 주체 상태 230
1. 노동조합의 집행부의 주도력 230
2. 대의원의 활동력 233
3. 조합원 의식 235
4절 기아자동차 교섭구조와 특징 237
1. 기아자동차 노사 교섭구조 237
2. 기아자동차 교섭구조의 특징 239
2-1. 중층화된 교섭구조 239
2-2. 교섭의 일상화가 제기하는 노동운동의 해결해야할문제 240
3. 소결 241
4장 유연생산체제에 맞선 노동조합 대응 方案 245
1절 유연생산체제와 노동자 245
1. 유연생산체제와 노동의 위기 245
1-1. 구조조정과 노동의 대응 245
1-2. 유연생산체제와 노동의 위기 250
2절 유연생산체제에 대한 노동조합 대응 方案
1. 노동조합 대응 기조와 내용
1-1. 유연생산체제에 대한 노동조합의 태도
1-2. 유연생산체제에 맞선 노동조합 대응 목표(goal)
1-3. 유연생산체제에 맞선 노동자 대응의 기조와 방향
1-4. 대응을 위한 기아자동차 노동자 주체들이 갖추어야 할 것들
2. 사안/영역별 대응 方案
2-1. 현대재벌 구조에 대한 대응
2-2. 변종변량 및 물량경쟁에 대한 대응
2-3. 모듈화와 외주화에 대한 대응
2-4. 공장합리화에 대한 대응
2-5. UPH 조정 및 인원배치 대응
3. 結論
결국 ‘혼류생산’이 ‘고용’을 보장하는 조건으로 모듈화나 자동화, 부품조달체계의 change(변화)와 함께 연결되고 있다아 물론, 현재 수준에서 이러한 자동화, 모듈화가 곧바로 외주화로 연결되거나 혹은 인원에 대한 축소로 나타나지는 않고 있다아 오히려 총고용은 보장되지만 ‘전환배치’를 통한 총고용의 보장이라고 볼 수 있겠다. 그러나 자본은 역으로 이를 이용하여 공장간의 갈등을 유발시키거나, …(투비컨티뉴드 )






기아자동차 유연생산체에 대한 글입니다.기아자동차유연생산체 , 기아자동차 유연생산체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기아자동차유연생산체
Download : 기아자동차 유연생산체.hwp( 90 )
순서
기아자동차 유연생산체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다. 그러나 자본은 공장간의 차이와 대응에 따라 차종이관을 진행해 물량이 안정적이지 못한 공장과 잘 팔리는 차종을 생산하는 공장간의 갈등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대응을 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