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드기 매개성 질환/세균성 질환/미생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7 18:29
본문
Download : 진드기 매개성 질환세균성 질환미생물.hwp
■ 감염
역학
주로 남태평양, 극동아시아에 즉 일본에서 파키스탄에 이르기 까지 또한 한국에서 오스트레일리아에 이르는 지역에 분포한다. 동결 상태에서는 살 수 있으나 동결 건조하면 사멸한다.
설명
진드기매개성질환1 , 진드기 매개성 질환/세균성 질환/미생물의약보건레포트 ,
진드기 매개성 질환/세균성 질환/미생물
Download : 진드기 매개성 질환세균성 질환미생물.hwp( 92 )
순서
진드기매개성질환1
쯔쯔가무시 병(Orientia tsutsugamushi)
라임병(Borrelia burgdorferi )
발진열(Rickettsia typhi)
쯔쯔가무시 병(Orientia tsutsugamushi)
■ 병원체
쯔쯔가무시 리켓치아는 쌍구균 또는 소간균상으로 길이 0.3-0.5㎛정도, 폭 0.2-0.4㎛이며, 세포외에서는 증식하지 못한다. 국내에서는 1986년에 국내도처에서 발생하고 있음이 규명되었고, 매년 수백명의 환자들이 발생하고 있다아
감염기전
사람은 우연한 숙주로 매개충은 털진드기의 유충이다. 이 유충이 들쥐나 이 지역을 지나는 사람에게 우연히 감염되어 기생하게 되며, 이때 …(투비컨티뉴드 )
레포트/의약보건






,의약보건,레포트
다. Karp형, Gilliam형, Kata형이 있으며, 균주에 따라 항원성의 차이가 있다아 50°C에서 10분이면 사멸하며, 0.1% 포르말린, 0.5% 석탄산액에서 쉽게 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