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다른자연정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7 06:52
본문
Download : 또다른자연정원.hwp
그리고 정원의 돌과 나무는 자연 그대로의 모습이며 정원 어디에도 포장된 도로를 찾을 수 없고 가장자리의 돌 벽을 제외하고는 그 어떤 인공물도 찾을 수 없을 정도이다.
이것으로 보면 우리 전통 정원은 자연적이며 인간과 자연이 동화 되면서 자연 친화적으로 조경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중국(China) 조경에서 나무들은 괴석들을 보조 하는 역할을 하여 우리나라와는 차이를 보였었다.
처음에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별서 정원으로 소쇄원이라는 곳이 intro 되어 졌는데 소쇄원이란 뜻이 물 맑고 깊은 깨끗한 원림 이라는 데 이곳의 조경을 보면 계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데 치중했으며 작은 연못으로 물을 보낼 때도 나무통을 이용하는 등 세심한 노력을 기울였다. 그리고 중국(China)의 정원은 실용적 가치를 지닌 …(skip)
또다른자연정원 , 또다른자연정원공학기술레포트 , 또다른자연정원
설명
또다른자연정원,공학기술,레포트
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또다른자연정원.hwp( 26 )
다.순서
또다른자연정원
또다른자연정원
REPORT
김승민
또 다른 자연 정원을 보고...
1.내용 요약
이 프로그램(program]) 의 내용은 우리나라 전국 각지의 주요 정원을 대상으로 자연 환경에 대한 건축과 조경에 대하여 intro 를 하였다. 우선 중국(China) 정원의 형태는 다분히 인공적임을 알 수 있고 중국(China)은 화가들이 조경을 겸하여서 그림을 보듯이 정원을 보아 중국(China) 정원을 그림과 같은 정원이라고도 한다.
한 중 일 세 나라 각각의 조경 특징들도 알 수 있는데, 그 차이는 정원을 구성하는 요소인 물, 나무, 돌, 등의 다루는 방식 이었다.
소쇄원 이외에도 낙서제, 서석리 정원, 안압지, 죽서루 등 이외에도 많은 곳의 조경의 특징에 대하여 들었는데 하나 같이 공통적으로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살리고 자연에 동화되려하는 조경을 했음이 가장 큰 특징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우리나라 정원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당대 선비들이 추구하는 유교적 이상이나 생활 철학 그리고 현세를 떠나 원천적 자유를 누리고자 한 일반적인 염원 또한 담겨 있으며 개방형 구조로 되어있어 여러 사람들이 이용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아 그리고 우리나라 개인 정원의 성격을 보면 성리학적 사상을 공유하며 당시 사대부들의 文化(문화)적 공간의 역할을 하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