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차 교육과정의 정착을 위한 특별활동 중심의 특기 적성 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7 00:04
본문
Download : 제7차 교육과정의 정착을 위한 특별활동 중심의 특기 적성 교육.hwp
학교 특기·적성교육에 대한 학부모나 학생들의 호응도는 높은 편이며 원하는 program도 매우 다양하였다.
지역특성과 다인수 학급에 맞는 특별활동 중심의 다양한 특기·적성교육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중점 지도를 실시하고 그에 대한 내용을 정리한 자료입니다.
본교는 이런 기초 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지역characteristic(특성)과 다인수 학급에 맞는 특별활동 중심의 다양한 특기·적성교육의 necessity need을 바탕으로 중점 지도하였다.
첫째, 건전한 인성과 창의성을 함양하는 기초·기본 교육의 충실
둘째, 세계화·정보화에 adaptation(적응) 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 능력의 신장
셋째, 학생의 능력, 적성, 진로에 적합한 학습자 중심 교육의 실천
넷째, 지역 및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 확대
위의 개정중점 중에서 특기·적성교육과 관련된 부문은 셋째, ‘학생의 능력, 적성, 진로에 적합한 학습자 중심 교육의 실천’으로 정보화·세계화 시대에는 인간 개인의 잠재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한 교육이 요청된다 …(투비컨티뉴드 )
제7차 교육과정의 정착을 위한 특별활동 중심의 특기 적성 교육
Download : 제7차 교육과정의 정착을 위한 특별활동 중심의 특기 적성 교육.hwp( 23 )
유용하게 활용이 되길 바라며, 행복한 시간 되세요. 감사합니다.^^ , 제7차 교육과정의 정착을 위한 특별활동 중심의 특기 적성 교육의약보건레포트 ,
레포트/의약보건
,의약보건,레포트
다.^^
설명






지역특성(特性)과 다인수 학급에 맞는 특별활동 중심의 다양한 특기·적성교육의 necessity 을 바탕으로 중점 지도를 실시하고 그에 대한 내용을 정리(整理) 한 data(資料)입니다. 유용하게 활용이 되길 바라며, 행복한 시간 되세요. 감사합니다.순서
Ⅰ. 처음 하는 말
Ⅱ. 제7차 교육과정과 특기·적성교육
Ⅲ. 운영 중점 과제(problem)
Ⅳ. 운영의 실제
1. 운영 중점 과제(problem) <가>의 실천 내용
2 운영 중점 과제(problem) <나>의 실천 내용
3. 운영 중점 과제(problem) <다>의 실천 내용
Ⅴ. 맺는 말
앞으로의 학교 교육은 개개인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학습자중심 교육으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기회의 제공과 학생들의 개성을 존중하고 능력을 살릴 수 있는 다양한 교육program의 개발과 지역과 연계한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제7차 교육과정이 정착과 ‘새 학교 文化(culture) 창조’라는 시대적 명제를 놓고 볼 때 특기·적성교육 활동은 자기 표현을 극대화하는 활동으로서 비교적 수동적, 타율적으로 전개되는 교과활동 보다는 능동적, 자율적인 활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개인의 적성과 소질을 계발하고 신장시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교는 지리적으로는 농촌을 지역기반으로 하는 중소 도시의 중심학교이고 경제적으로 풍요롭지는 못하나 학부모나 학생의 교육적 열의는 높은 편이며 학교 규모는 46학급 1831명의 다인수 학급의 대규모 학교이다.
Ⅱ. 제7차 교육과정과 특기·적성교육
2000학년도부터 초등학교 1, 2학년을 처음 으로 적용한 제7차 교육과정은 교과활동, 재량활동, 특별활동 영역에 걸쳐서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토록 되어 있으며, 제7차 교육과정이 개정 중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